이주노동자의 역사와 현실

이주노동자의 배경 상황

Migrant Workers Background

The MOU between Korea and the EPS sending countries have varied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each country. In some countries being a highschool level or graduate is enough to apply as workers in Korea. But for some countries they require workers to have at least some college level education or trade/vocational graduates.

한국과 고용허가제(Employment Permit System) 송출 국가와 맺은 양해각서(MOU)에 따르면 각 나라에 요구하는 자격 요구는 다양하다. 일부 국가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이나 고등학교 졸업이 한국에서 노동자로 일하는 것을 지원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다른 일부 국가에서는 최소한 대학수준 교육 또는 무역/직업 학력 졸업장을 요구하기도 한다.

However, due to the high costs of migration and the high education level of most job seekers, a large majority of the migrant workers who came to Korea have had a higher degree of education (sometimes professionals), or had long term employment in manufacturing industries, were also migrant workers from other countries or belonged to the lower middle class families. The very poor cannot access financial sources to process their application requirements because they have no collateral for loans, families cannot give financial support or they are credit risks (no regular or long term employment).

그러나 높은 이주 비용과 대부분의 구직자의 높은 교육 수준으로 인해 한국에 오는 이주노동자 대다수는 높은 교육 수준을 갖고 있거나 (어떤 경우에는 전문가들), 제조업에서 오랜 기간 일했거나 다른 나라에서도 일했거나 하위 중산층 가계에 속해 있었다. 아주 가난한 이들은 대출을 위한 담보가 없거나, 가족들이 재정적 지원을 못하거나 신용도가 낮아서(정기적 혹은 장기 고용이 없음) 이주 지원절차를 밟기 위한 재원에 접근할 수 없다.

Some migrants came here on tourist visas or family invitations. Now, most are hir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or EPS, entertainers visa, some professionals get working visas. Some people also come here on student visas.

어떤 이주민들은 관광비자나 가족 초청으로 여기에 왔다. 현재 대부분의 이주노동자들은 고용허가제, 예술·흥행 비자를 통해 고용되고 있고 일부 전문가들은 노동 비자를 얻는다. 또 어떤 이들은 학생 비자로 오기도 한다.

Since most of the workers are industry based, most of the workers are male and around one third female.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산업에 기반해 있기 때문에, 그들은 주로 남성들이고 약 3분의 1이 여성들이다.

Majority believe that they will only stay here temporarily.

다수 노동자들은 한국에 일시적으로만 체류할 것이라고 믿는다.

Majority support immediate and extended families. (Wife, children, parents, siblings and other relatives).

다수 노동자들은 자기 가족과 확대 가족(부인, 아이들, 부모님, 형제자매, 기타 친척)을 부양한다.

Migrants are immediately given a higher social standing in the community and therefore are given a higher social responsibility. Therefore, in emergency situations they are usually looked upon in the community as a source of help or assistance.

이주민들은 공동체 내에서 즉시 높은 지위가 주어지고 따라서 높은 사회적 책임이 부여된다. 그래서 긴급 상황에서 그들은 보통 도움이나 조력을 제공하는 사람으로 공동체 내에서 여겨진다.

The age bracket for migrants are 20-45 years old. Many have families of their own.

이주민들의 나이층은 20살에서 45살 사이이다.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가족이 있다.

Most migrants are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working in Korea through the pre-departure training/education requirements.

대부분의 이주민들은 출국전 훈련/교육을 통해 한국에서 노동하는 것의 어려움을 알고 있다.

Majority of the migrant workers directly and indirectly suffer from labor violations but a high majority of the workers fail to realize or know that there rights are being violated. Even if they knew that their rights are being violated most migrant workers are not aware what they should do.

다수 이주 노동자들은 직간접적으로 노동조건 침해로 고통을 겪지만 대다수는 그들의 권리가 침해당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거나 알지 못한다. 그들이 권리 침해를 알더라도 대부분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Language is the primary barrier for migrants in seeking redress and correction for their violated rights.

언어는 침해된 권리 구제와 시정에 있어 이주민들에게 일차적 장애물이다.

Even if migrants knew what to do or they completely knew the process in taking corrective actions or measures the law is designed to protect the workplace and employers than protection of the workers.

이주민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알거나 시정 절차나 조치를 완전히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법은 노동자 보호가 아니라 사업장과 고용주 보호를 위해 마련되어 있다.

There is no job security for migrant workers, very limited opportunity to change workplaces even under unfavorable or abusive conditions.

이주노동자에게는 고용안정이 없고, 열악하고 학대받는 조건 하에서도 사업장을 바꿀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Most have to endure slave-like conditons: unpaid wage, underpayment, salary cuts, huge pay deductions, forced labor, verbal abuse, long working hours, not enough rest time, not enough rest days, no sick leave or vacation leave, illegal termination, no benefits, contract violations, industrial accidents, health issues, physical abuse, deplorable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and all sorts of discrimination, limited access to health care and sometimes even prevention of their access to medical checks and treatment, women are highly susceptible to sexual violence and harassment, and all forms of discrimination. The undocumented workers suffer from all these and much more. The crackdown, criminalization, inability to seek redress against crimes committed against their person, limited mobility, stress due to uncertainty (their job, stay and status), could not easily go home because of the inability to return, loved ones dying and being uncapable of seeing their loved ones one last time, loved ones getting sick, and so much more.

대부분의 이주노동자들은 노예와도 같은 조건을 견뎌야 한다. 체불임금, 저임금, 임금 삭감, 임금에서 많은 액수 공제, 강제노동, 욕설, 장시간노동, 불충분한 휴식시간, 불충분한 휴일, 병가나 휴가 없음, 불법적 계약해지, 상여금 없음, 계약 위반, 산업재해, 건강문제, 육체적 폭행, 비참한 노동과 주거 조건, 모든 종류의 차별, 건강 돌봄에 대한 제한적 접근, 어떤 때는 건강검진이나 치료에 대한 접근 금지, 여성은 성폭력과 성희롱, 모든 종류의 차별에 노출되기 쉬운 것 등. 강제단속, 범죄자화, 범죄에 대한 시정 요구하기 힘듬, 제한된 이동성, 불확실성(일자리, 체류, 신분)으로 인한 스트레스, 되돌아올 수 없어서 집에 쉽게 가기 힘듬,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과 그 마지막 순간을 보지 못하는 것, 사랑하는 사람이 아픈 것, 등등 훨씬 더 많다.

Most migrants intention is to work abroad only for a few years in order to save up enough money to use as capital for businesses back home. Others, to support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or siblings. Others to provide support for the medical treatments of loved ones. A few handful of people come to seek independence financial and/or social independence. And some intend to save up enough money in order for them to be able to immigrate to another country.

대부부의 이주민들의 목적은 본국에 돌아와 사업을 위한 자본에 활용하기 위해 충분한 돈을 저축하기 위해 몇년만 외국에서 일하는 것이다. 다른 이들은 아이들이나 친척들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이들은 사랑하는 이들의 병원비를 지원하기 위해서이다. 소수만이 재정적 독립과/혹은 사회적 독립을 추구하기 위해서 온다. 그리고 일부는 다른 나라로 이주하기 위해 충분한 돈을 모으려 하기도 한다.

Lack of knowledge either in labor law or language are the usual reasons why the migrants are abused. Migrants are threatened with termination or repatriation to the home country if we do not follow or endure the working conditions in a company. The limitations in the law also gives way to abuse.

노동법이나 언어에 대한 지식 부족은 이주민들이 학대당하는 일반적인 이유들이다. 이주민들은 공장에서 노동조건을 따르지 않거나 견디지 못하면 계약 종료나 본국 송환을 하겠다는 협박을 받습니다.

Results of migration on the life of the migrant workers:

이주노동자의 삶에 대한 이주의 영향

Migrant workers would come to Korea in the hope of securing a better future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eing economically and financially disadvantaged, workers would risk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to sacrifice not only for the family but for our countries as well. Our earnings help to keep our nations economies afloat.

이주노동자들은 스스로와 가족들의 더 나은 미래를 보장하려는 희망에서 한국에 온다. 경제적, 재정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가족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해서도 건강의 위험을 무릅쓰고 삶의 질을 희생한다. 우리의 수입은 우리의 나라들이 빚을 지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Injuries and illnesses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work. Repetitive stress injuries, respiratory diseases, accidents like amputations, sleep deprivation, organ failures and ailments, blood poisoning, heavy metal poisoning, nerve damage, psychological stress, and many other ailments and illness.

노동의 성격에 따라 부상과 질병은 다양하다. 반복사용 긴장성 손상, 호흡기 질환, 절단과 같은 사고, 수면 박탈, 장기 손상과 질병, 패혈증, 중금속 중독, 신경손상, 심리 스트레스, 기타 많은 질환과 질병들이 있다.

De-humanization of the migrants. Most migrants are treated like machines or animals in the workplace. We are always expected to work harder longer and faster than the native workers. Our accomodations are either too cramped, dirty, not suitable for living, expensive or all of the above. We are usually housed inside the company premises so that they are easily accessible. We are deprived of adequate rest because of the noise, extremely cold/hot rooms, dirty environment or too much work load.

이주민에 대한 인간성 말살. 대부분의 이주민들은 작업장에서 기계나 동물처럼 취급받는다. 우리는 항상 내국인 노동자보다 더 많이, 길게, 빨리 일하도록 기대된다. 우리의 생활공간도 너무 비좁고 더럽고 생활에 적합하지 않고, 비싸거나 이 전부에 해당되기도 한다. 우리는 보통 쉽게 일 시킬 수 있도록 회사 내에 살게 된다. 우리는 소음, 극단적으로 춥고/더운 방, 더러운 환경 또는 너무 많은 작업량으로 인해 적절한 휴식을 박탈당한다.

Common problems arise from separation of the families. Extra-marital affairs, broken marriages, lack of parent figure, low self-esteem for the children or puts a higher value on materialism over relations, vices, lack of communication and an overall stress on relationships.

가족으로부터의 분리는 공통의 문제를 일으킨다. 혼외의 관계, 깨어진 결혼, 부모 역할 부족, 아이들의 자부심 부족 또는 관계 위에 물질적 가치를 더 높이 두는 것, (자녀의) 비행, 소통 부족,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스트레스 등.

The prime of the migrant workers life is spent in doing hard labor and rarely does the migrant worker go back to the homeland completely free from illness or injury. The savings, if the migrant is able to save would usually be spent on medication and treatment, or the quality of life is extremely reduced, or would not be enough to secure a decent life.

이주노동자의 전성기는 고된 노동에 소비되고 질병이나 부상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게 본국으로 돌아가는 이주노동자들이 거의 없다. 이주노동자들이 쌓을 수 있었던 저축은 주로 투약과 치료에 쓰이고 혹은 삶의 질은 극단적으로 감소되거나 괜찮은 삶을 보장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law in the protection of the migrant workers rights the system continuously threaten the job security of the workers. It has also institutionalized the abuse of the migrant workers despite of laws put into place. The contradiction of the immigration law and labor law make it difficult for the migrant workers to enjoy their full labor rights. The systems policy is also a vehicle for the migrant workers loss of status. These in turn only perpetuates the existence of undocumented workers in Korea. The system also aims to keep the migrant workforce temporary by making the working periods shorter so that they may easily exploit the migrant workers. This limits their ability to adapt, educate themselves, achieve empowerment and experience. In short they aim to keep the migrant workers submissive to their employers instead of call for better working conditions. Complaining about the bad conditions in the workplace easily endanger our job security, our visa status or repatriation.

이주노동자 권리 보호에 대한 법적 보호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시스템은 고용안정을 계속적으로 위협한다. 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 학대는 제도화 되었다. 출입국관리법과 노동법의 모순은 이주노동자들이 완전한 노동권을 누리는 것을 어렵게 한다. 체제의 정책은 이주노동자들이 신분을 잃는 매개물이다. 이는 다시 한국의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존재를 영구화한다. 체제는 또한 노동 기간을 짧게 만들어 이주노동력을 일시적인 것으로 유지하여 이주노동자를 쉽게 착취하려고 한다. 이는 이주노동자들이 적응하고 스스로 교육하고 주체성과 경험을 성취하는 것을 제한한다. 요약하면 체제는 노동조건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노동자를 고용주에 종속적인 존재로 유지하기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작업장의 열악한 노동조건에 대한 이의 제기는 우리의 고용, 비자 신분, 송환을 쉽게 위험하게 하는 것이다.

Discrimination is commonplace in the Korean work environment as well as the society in general. The negative stereotyping of migrants like hygiene, criminality, ignorance, uneducated, poor, barbarism or the lack of social graces are the most common stereotypes for migrant workers. These stereo-typing generally paves the way for the discrimination of the migrants. Undermining the values of our humanity, we are then treated as sub-human as what is reflected in our working conditions and living conditions.

차별은 한국의 노동환경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 내에서 일반적이다. 위생, 범죄성, 무지, 교육받지 못함, 가난, 야만성 또는 사회적 품위 부족과 같은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은 이주민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고정관념이다. 고정관념화는 전반적으로 이주민에 대한 차별에 이르게 한다. 우리의 인간성을 훼손하면서 우리는 우리의 노동조건과 생활조건에 반영된 것처럼 인간 이하로 취급받는다.

Short History of Migrants in SK

한국 이주민의 짧은 역사

During the latter part of 1980's through the early 1990's it was notably visible that there was a sudden influx of migrant workers to South Korea. Concurrent with Korea's economic boom, the 1998 Olympics gave light to the fact that the Korean Industry is an employment opportunity for foreigners whose native countries have a high rate of unemployment and limited opportunities. The Korean Small and Medium Scale Enterprises are in dire need of this labor force because native workers refuse to work for these companies given that typically the work would be dirty, difficult or dangerous, what is otherwise known as 3D jobs.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까지 이주노동자들이 갑자기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한국의 경제 붐과 더불어 1988년 올림픽은 본국에서 실업률이 높고 기회가 제한된 외국인에게 한국의 산업이 고용 기회라는 사실을 밝혀 주었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내국인 노동자들이 더럽고, 어렵고, 위혐한 소위 3D 업종에서 일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노동력에 대한 긴급한 요구가 있었다.

Migrant labor came from as far as the African continent but majority of these workers came from poorer Asian neighbors. Around half of the foreign population in Korea are Chinese or Chinese-Koreans. The rest are from the 14 other EPS sending countries and others (Russia, Mozambique, Ghana, India, Peru, etc.). Assylum seekers and refugees, F2 visa holders or Korean spouses can also be considered as part of the migrant workforce since they are also employed in these industries and it is quite difficult for a foreigner married to a Korean to get citizenship and are deemed of lower stature than native Korean workers.

이주노동은 멀리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들어왔지만 다수는 가난한 아시아 이웃나라들에서 들어왔다. 한국의 외국인 인구의 대략 절반은 중국인 혹은 중국동포들이다. 그 나머지는 다른 고용허가제 14개 송출국가와 기타 나라들(러시아, 모잠비크, 가나, 인도, 페루 등)이다. 망명자와 난민, 결혼비자(F2비자) 소지자나 한국인의 배우자들 역시 이주 노동력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그들 역시 이러한 산업에 고용되어 있으며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들이 시민권을 얻기 매우 힘들고 내국인 노동자보다 더 낮은 지위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Befor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came to being, the Trainee System of employment was introduced in Korea around the 90's. This system was used to manage the migrant labor force that was growing in Korea during that time . The trainees, as they were called were not entitled to same the labor rights of Korean workers and thus, discrimination and abuse led to the rise of undocumented migrant worker population. Because of heavy criticism from social groups and communities who are sympathetic to the migrant workers, the Government drafted a new system of employment, which we now know as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or EPS. None the less, migrant workers and some Korean social groups criticized EPS as still being too restrictive. These criticisms and other abuses like the crackdown led the migrant workers and Korean social groups to conduct a sit-in struggle in front of the Myeong dong Cathedral protesting the lack of protection of migrant workers and being treated as disposable labor.

고용허가제가 시행되기 전에는 산업연수제가 90년대 초반에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당시 한국에서 증가하던 이주 노동력을 관리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연수생들은 불리는 것처럼 한국 노동자들과 같은 노동권을 부여받지 않았고 따라서 차별과 학대는 미등록 이주노동자 숫자의 증가로 이어졌다. 사회단체들과 이주노동자들에게 동정적인 여론의 막대한 비판으로 인해 정부는 새로운 고용제도를 입안했는데 그것이 현재 우리가 고용허가제 혹은 EPS로 알고 있는 제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들과 일부 한국 사회단체들은 고용허가제가 여전히 너무나 제한적이라고 비판해왔다. 이러한 비판과 단속추방 같은 탄압은 이주노동자들과 한국 사회단체들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보호 부족과 일회용 노동으로 대우받는 것에 항의하며 명동성당에서 농성투쟁을 들어가게 만들었다.

The EPS was first put in effect in 2004 and up to now is still being currently used as a system of employment for migrant workers. For the EPS workers, the employment policy restriction of limiting the work place change to only 3 times is a primary deterrence for the migrant worker to exercise their rights. Given the severity of the repercussions like losing their legal visa status, they would rather put up with the sub-standard work and living conditions. In principle, the EPS workers are on an equal footing as native workers. In reality, the policy restrictions are paving the way for abuse both physical and verbal, forced labor, excessively long work hours, not enough rest hours/days, unpaid wages, huge pay cuts, denied benefits and more. The policy restrictions serve as the invisible chain that binds them in servitude to their employers. The EPS policy on migrant workers is an ineffective tool in securing the Labor Rights and Human Rights of the migrant worker. It has not only encouraged employers to abuse their migrant workers this system also helps perpetuate all forms of abuse against EPS migrant workers.

고용허가제는 2004년에 처음으로 시행되었고 현재까지 이주노동자 고용제도로 활용되고 있다. 고용허가제 노동자들에게 작업장 이동을 3회로만 제한하는 고용정책의 제한은 이주노동자들이 권리를 행사하는데 일차적인 방해물이다. 법적인 비자 신분을 잃는 것과 같은 가혹함 때문에 이주노동자들은 기준 이하의 노동과 생활조건을 감내한다. 원칙적으로 고용허가제 노동자들은 내국인 노동자들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러한 정책상의 제한은 육체적인 학대, 욕설, 강제노동, 과도한 장시간 노동, 불충분한 휴식시간/휴일, 체불임금, 막대한 임금삭감, 수당 부정 등과 그 이상을 낳는다. 또한 정책적 제한은 이주노동자들을 고용주에 대해 노예상태로 묶어두는 보이지 않는 쇠사슬로서 기능한다. 고용허가제 정책은 이주노동자의 노동권과 인권을 보장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은 도구이다. 그것은 고용주로 하여금 이주노동자를 학대하도록 했을 뿐만 아니라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모든 형태의 학대를 영구화하도록 돕는다.

It is especially hard for EPS workers to secure their rights under the current system but for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t is nearly impossible. Undocumented workers are criminalized in Korea. The current Crackdown against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s obviously a transgression on their humanity. Productive individual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economy of Korea are treated no better than ordinary criminals. The Crackdown has led to several deaths, injuries, loss of livelihood and deep mental and emotional stress. Crimes committed against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are more often than not remain unresolved and are not given justice because the victims(undocumented workers) are the ones treated as criminals. * (cite as example: undocumented Filipina worker stabbed, undocumented Filipino worker turned over to the immigration after filing a complaint for being beaten up.)

고용허가제 노동자들이 현재의 시스템 하에서 그들의 권리를 보장받는 것은 특히 어렵다. 그러나 미등록 노동자들이게 그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미등록 노동자들은 한국에서 범죄자화되었다.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대한 현재의 강제단속은 명백히 인간성에 대한 범죄이다. 한국경제에 기여한 생산적인 개인들이 일반적인 범죄자처럼 대우받는 것이다. 강제단속은 죽음, 부상, 생명 손실, 깊은 정신적 감정적 손상을 초래했다.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대한 범죄는 대개 미해결로 남아있고, 피해자(미등록 노동자)들이 범죄자처럼 취급되기 때문에 정의도 실현되지 않는다. *(사례: 칼에 찔린 미등록 필리핀 여성노동자, 폭행당한 미등록 필리핀 남성노동자가 고소를 제기한 이후 출입국관리소로 넘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