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격함, 치열함 보다 설득력 있는 노동운동 할 것"

[인터뷰]이주노동자조합 위원장 토르너 림부씨
2008.02.21 13:4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39927

지난 해 11월, 경찰과 출입국관리소의 단속으로 인해 '까지만' 이주노조위원장이 출국조치를 당했다. 토르너 림부씨는 2008년 2월 현재, 그의 뒤를 이어 이주노동자조합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다. 그가 한국에 온 해는 1992년이고, 2003년 고용허가제 실시와 동시에 미등록 이주노동자 상태가 되어 단속을 피해 전전하다 2004년 명동성당 농성에 합류, 본격적인 노동운동을 전개하게 됐다.    




  
  
▲ 이주 노조 위원장 직무대행 토르너 림부.  
ⓒ 구자민  이주노동자



- 여수 외국인보호소 화재 참사, 그 후 1년이 지났다. 그때를 돌아보면 어떤 마음인가.

"당시로선 슬프고 비통함 보다, 황당무개함 그 자체였다. '감옥'에 갇혀 있던 동지들이 험한 꼴을 당했다. 어떻게 '보호소'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곳에서 간단한 안전장치 하나 없었는지, 우리의 인권이 이렇게 짓밟힐 수 있는 것인지, 도저히 이해가 안 갔다. 한국정부에 실망했다. 어느 정권이 들어서든 다시는 그런 일이 발생하게 놔두면 안된다."

  

- 림부씨도 한국에 와 일하면서 부당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나?

"92년에 서울의 한 전기코드 공장에서 산업연수생 신분으로 일했었다. 2년을 일했는데, 너무 힘들었다. 오전 9시에 출근해서 밤 11시에 퇴근했지만 한 달에 35만원이 고작 이였다. 체력적으로 더는 견뎌내질 못했다. 더 힘들었던 건 상처받은 마음이었다. 사람 가지고 장난쳤다. '사장님'은 직원들을 훈계할 때 한국 사람들은 배제하고 이주노동자들만 싸잡아 욕했다. 심지어는 폭력을 휘두르기까지 했다."



- 노동운동의 길로 들어선 이유도 그런 부당함 때문 이였나? 투쟁가가 된 결정적 계기는 무엇이었나.

"무엇보다 한국정부의 정책에 너무나 실망했다. 2003년 7월, 노무현 정부가 들어섰고, 사용자 중심의 이주노동법인 '고용허가제'가 실시되었을 때다. 당시 나는 다녔던 회사가 있었는데, 법 발효와 동시에 계약 해지 당했다. 이후, 4개월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미등록자'로 전환되었다. 일명 '불법체류자' 신세가 된 것이다. 당시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관해서는 처벌 및 감금 등의 규정이 있었기에 고달픈 도피 생활을 해야 했다. '이래서는 안 되겠다', '더 이상 굴하지 않겠다' 생각해, 당시 농성 중이던 명동성당으로 향했다. 그게 시작 이었다."



- 미등록 이주노동자, 흔히 말해 '불법체류자'는 왜 자꾸 늘어난다고 생각하나?

“이주노동자, 그들은 배고픈 철새다. 단지 먹을 것이 있는 곳으로 떠나온 철새다. 가난을 탈피하고자 온 슬픈 철새다. 누구나 고향을 떠나는 것은 쉬운 결정이 아니다. 그들은 '한국에 가면 배부를 수 있다'는 기대하나로 2만원으로 한 달을 버티며 거액의 브로커 비용을 마련한다. 허나, 한국에 와서 돌아온 건 "'송출비리'였다"는 말 한 마디와 산더미처럼 쌓인 빚과 이자다. 이제는 고향에 가고 싶어도 갈 수가 없다. 이런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정부의 제도가 하나도 만들어 진 게 없다는 게 핵심이다."



- 오늘로 76일째 이주민 정책과 관련해 투쟁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변화의 흐름이 포착되고 있는가?

"변화의 흐름은 내가 명동성당에서 투쟁하기 시작한 2004년부터 있었다. 비록 현재 전국의 노동운동단체들과 연대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 아쉽지만, 여러 곳에서 우리 뜻을 표명하면 의외로 동참하려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 과정 속에서 희망을 찾는다. 우리는 노동운동이라고 해서 치열하고 과격하게 싸우기보다 한국 사람들을 설득시키고 공감을 불러일으키게 하는데 주안을 둘 것이다. 현재로서 우리가 원하는 변화는 노동허가제를 통해 차별 없고 합의가 가능한 노사관계를 만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