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권’도 없는 이주노동자들의 ‘눈물’

사회적 의료서비스 못받고… 고된 노동으로 조산·유산…

강버들기자 sunnyahn@munhwa.com



의료백서 발간

외국인 여성을 비롯한 이주노동자의 건강과 관련된 진료 확대, 출산지원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이주민건강협회는 26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창립 10주년 기념식에서 2004~2008년 의료공제회원과 응급환자에게 지원한 의료비지원현황 등을 분석한 ‘한국사회와 이주민 건강’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취약계층의 외국인 이주노동자 1612명에게 10억4640여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들의 총 진료비 35억8500여만원의 29%에 해당하는 금액이지만 국내 근로자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소액인 것으로 평가된다. 지원 대상은 이주노동자, 난민, 난민신청자, 이주아동·청소년, 유학생 등으로 여성이 64%(1034명), 남성은 36%(577명)였다. 연령별로 30대(562명)가 가장 많았고 20대(332명), 40대(195명) 순이었다.

가장 많이 지원을 받은 질환은 산과(688건)였고 근골격계(138건), 위장관계(127건), 신경계(117건), 신생아질환(71건) 등이 뒤를 이었다. 산과 지원이 많은 데 대해 이애란 이주민건강협회 사무국장은 “특히 미등록 이주여성의 출산비 지원이 해마다 늘고 있다”며 “이들은 사회적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협회의 지원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여성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은 고된 노동을 계속하며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적절한 관리를 받지 못해 조산, 유산 등 출산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신생아 건강 문제와도 직결된다. 정신과 질환도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불법체류 단속에 대한 불안과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압박 등으로 정신적 문제를 겪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이주민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버들기자 oiseau@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