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K. English daily newspaper Korea Herald is reporting in its Friday(2.02) edition following:

Court backs migrant workers' union  

A Seoul appellant court yesterday ruled that migrant workers have the right to organize a labor union regardless of their legal status.
The Seoul High Court overturned a lower court ruling last year which backed the government's refusal of a request by a group of foreign workers to form a labor union.

Foreign workers welcomed yesterday's decision as paving the way for the better protection of labor rights of more than 360,000 migrant workers who face rampant abuse and unfair treatment at workplaces.

"This means all migrant workers have the right to establish a labor union or become unionized members, whether they have legal status or not," said workers' counsel Kwon Young-kuk.

In May 2005, the Seoul-Gyeonggi-Incheon Migrant Trade Union submitted an application to launch a legal labor union at a Seoul regional office of the Labor Ministry.

But the ministry rejected it on the grounds that it would include those overstaying their visa or entering the nation illegally.

Migrant workers often experience various forms abuse in the workplace as employees exploit their illegal status which prevent them from complaining to the authorities. Many illegal workers who were injured on the job received inadequate treatment and little or no compensation.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remained in Korea for longer than 90 days reached at 536,000 last year, accounting for more than 1 percent of the whole population.

At least 360,000 migrant workers were believed to be working in Korea as of June 2006, some 1.5 percent of the total workforce, according to Amnesty International, 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watchdog. Of this total, there were at least 189,000 "irregular" migrant workers and at least 115,000 "documented" migrant workers.

Initially the union first had 91 members from Bangladesh, Nepal,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working in the capital, Inchon and Kyonggi Province in 2005, but now boasts over 200 members, Kwon said.

"The number keeps rising and falling because some of the illegal migrant workers get arrested and deported back to their countries," he said.

Anwar Hossain, the Bangladeshi leader of the union, was arrested in May 2005 for overstaying his Korean visa. The Immigration Bureau released him last April due to his poor health.

"It's quite hard to understand why we have to become illegal immigrants. The government here brings in new workers while forcing experienced workers out of the country," Hossain once told local media. "We're only here because we want to make a living, and it is time that our voices are heard."

The union had demanded the government to follow a 1997 Supreme Court ruling, which grants that every worker, regardless of their legal status, should be guaranteed basic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organize.

http://www.koreaherald.co.kr/SITE/data/html_dir/2007/02/02/200702020014.asp

Voice of People (민중의소리) wrote following:

불법체류 이주노동자도 노조 만들 수 있다 (민중의소리)
단결권 인정 첫 사례…서울고법, 1심 판결 뒤집어

불법 체류 이주노동자도 노조를 설립할 수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등법원 제11특별부(재판장 김수형 부장판사)는 1일 서울·경기·인천 이주노동자 노동조합(MTU, 위원장 아노아르)이 서울지방노동청장을 상대로 낸 노조설립신고서 반려처분 취소 소송에서 “설립신고서 반려처분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
  
  대법원의 최종 판단을 남겨놓고 있지만, 법원이 불법체류자를 포함한 이주노동자의 단결권을 인정한 첫 사례로 주목된다. 서울고법은 이날 “불법체류 외국인도 노동조합 결성, 가입이 허용되는 근로자에 해당하는데, 노동부는 조합원의 적법 체류여부를 심사할 권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법적근거 없이 조합원 명부제출을 요구했고, 노조의 보완요구 거절을 처분사유 중 하나로 삼은 것은 위법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판결은 노동부의 해석과 서울행정법원의 1심 판결내용을 뒤집은 것이다. 지난 2005년 6월 노동부는 이주노조가 제출한 설립신고서에 대해 “제출자료가 미비하고 임원 2명과 다수의 조합원이 불법체류 외국인으로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상 소정의 노동조합으로 볼 수 없다”며 반려했다. 노동부는 또 조합원 명부, 임원과 소속 조합원 취업자격 유무 등 보완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점을 설립신고 반려사유로 꼽았다.
  
  서울행정법원도 노동부의 손을 들어줬다. 서울행정법원은 지난해 2월 1심 선고에서 “대한민국에 체류자격이 없는 불법체류 외국인은 출입국관리법상 취업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고, 장차 적법한 근로관계가 계속될 것을 전제로 근로조건의 유지·개선과 지위향상을 도모할 법률상 지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노동부와 서울행법 모두 불법체류 이주노동자를 노조설립자격이 있는 근로자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서울고법의 입장은 달랐다. 서울고법은 “출입국관리법의 관련조항은 취업자격이 없는 외국인의 고용이라는 사실적 행위 자체를 금지하고자 하는 것에 불과할 뿐”이라며 “취업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고용계약이 당연 무효가 아니며, 근로자단체 결성까지 금지하는 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서울고법은 또 헌법상 근로 3권의 입법취지, 외국인의 지위를 보장한 헌법 제6조, 국적에 따른 근로조건의 차별대우를 금지한 근로기준법 제5조, 조합원에 대해 인종차별을 금지한 노조법 제9조의 입법취지 등에 비춰볼 때 “불법체류 외국인이라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면서 임금·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이상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는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주노조 관계자는 “1년 6개월이라는 긴 시간 끝에 노조설립의 정당성이 입증된 것”이라며 “서울지방노동청은 법원의 판결에 따라 즉각 이주노조를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지방노동청은 정부의 행정소송 절차에 따라 상고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최정희 노사지원과 팀장은 “판결문을 받은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검사의 지휘를 받아 상고여부를 결정하게 돼 있다”며 “이주노조의 설립신고서 문제는 서울지방청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원고인 서울·경기·인천 이주노동자 노조는 2005년 4월에 결성됐다. 1일 현재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스리랑카 등 5개국 이주노동자 400여명이 조합원으로 가입해있다.

http://www.voiceofpeople.org/new/2007020162109.html





Comrades, congratulations!!
KEEP F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