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aFocus - 프린트 서비스
[사회] 이주노동자들 ‘잡혀갈까’ 불안에 정신병 위협
돈없고 시간없어 만성질환 키워...건강권 보호 대책 시급
송옥진 기자 기자

한국인 평균보다 정신적 고통 심각

국내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댐 수몰지구 주민들보다 심한 정신적 고통을 받고 있어 건강권이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보건의료발전재단이 실시한 조사에서 이주노동자들의 일반정신건강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평균점수는 13.56으로 한국사회의 평균점수인 10.91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불안(Self-rating Anxiety Scale) 평균점수는 40.26으로 한국인의 평균점수 38.99보다도 높았다.

국제보건의료발전재단은 전북대학교 사회학과에 의뢰, 지난해 10월 24일부터 11월 27일까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주노동자 685명과 진료 의료기관 40개를 대상으로 탐색조사를 벌였고 그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이주노동자들은 두통과 요통을 호소하며 마음이 불안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불면증에 시달리고 불규칙한 수면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절반에 이르는 46%가 불규칙적인 수면을 취하고 있고, 미등록이주노동자의 경우 이보다 많은 52.6%가 불규칙한 수면을 취하고 있었다. 이는 일상적인 불안감으로 인해 규칙적인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질병이 있어도 병원진료를 제대로 못받고 있었다. 한국에 입국한 후 아픈 경험이 있는 노동자는 61.3%에 달했지만 이들 중 병원진료를 받은 횟수가 1번 이하인 사람이 3분의 1인 29.5%에 달했다. 2~4번 간 횟수도 35.7%, 5~7번이 11.4%, 8번 이상은 23.4%에 그쳤다.

시간없고 돈없어 병원 못가 만성질환 키워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만성질환의 비율이 높은 것도 특징이다. 이주노동자들에게서 가장 많은 질환은 위·십이지장 궤양(25.1%), 고혈압(24.9%), 알레르기(18.4%), 류머티스 관절질환(12.7%), 당뇨병(10.3%) 등 발병 3개월 후에 드러나는 만성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등록이주노동자의 경우 류머티스 관절질환이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에 온 후 아픈 경험을 가진 이주노동자들은 61.3%에 달했지만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은 횟수는 2~4번 경험이 35.7%, 1번 이하가 29.5%, 8번 이상이 23.4%, 5~7번이 11.4%으로 몸이 아프더라도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플 경우 치료 방법은 정기적 약물복용이 32.9%, 통원치료가 31.1%로 가장 높았고 입원치료는 15.6%,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는 12.8%로 나타났다. 약물복용 비율이 높고 병원치료를 제대로 못받는 원인은 진료비 부담과 함께 병원에 갈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이주노동자들 가운데 건강보험카드를 가진 이는 30.1%에 불과, 10명 중 7명이 보험혜택을 받지 못한다. 진료비가 부담스러워 병원에 가지 못한다는 응답자도 절반에 가까운 43.1%에 달했고 병원에 갈 시간이 없는 사람도 35.4%나 됐다. 더욱이 미등록 이주노동자의 경우 이주 노동자의 무료 진료를 지원하는 ‘외국인노동자의료공제회’ 회원 카드라도 소지한 이가 23.4%에 불과해 의료의 사각지대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주노동자 건강권 확보 정책 필요

결국 이주노동자들은 무료 진료소를 이용할 수 밖에 없지만 그마저도 자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월평균 무료진료 서비스 이용 횟수는 1회가 39.5%로 가장 많고 한번도 없다는 응답이 28.7%, 2회가 26.4%, 3회 이상은 5.4% 순으로 나타났다. 무료 진료소를 이용한 이들의 64.5%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진료대기 시간(24.7%), 재정부족(20.3%), 진료시간 부족 (13.8%), 인력 부족 및 약품 부족(11.3%) 등을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번 조사에서 특이한 점은 이주노동자들이 정신건강 등 일부 분야를 제외하고는 등록 이주노동자와 미등록 이주노동자간에 별 차이가 없고 전반적으로 한국인의 건강상태보다 열악하다는 점이다. 이는 이주노동자들이 열악한 노동·주거환경에 처해 있으며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조사를 진행한 전북대 사회학과 설동훈 교수팀은 “이는 차별적인 법·제도·정책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의료서비스 제공기관을 포함한 한국사회 일반의 이주노동자 건강권에 대한 이해 부족과 관련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번 조사를 토대로 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연구와 정책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이주 노동자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기본적인 문진표와 처방을 다국어로 제작, 배포할 것, 의료공급자간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 교환, 무료진료소 등 의료지원 서비스 홍보, 사용설명서 독해부족으로 인한 약물사용실태조사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06-02-20 오후 4:15:16  
© 1999-2005 CoreaFocus  
<저작권자 (c) CoreaFocus,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번호
제목
글쓴이
145 news scrap '아노아르' 이주노조 위원장 석방 7
MTU이주노조
2006-04-26 10202
144 news scrap 2050년 ‘늙은 대한민국’ 다섯명중 두명이 노인
MTU이주노조
2006-02-24 10189
143 propaganda 5.29 법무부 규탄 기자회견 자료 13 file
MTU이주노조
2008-05-31 10188
142 propaganda 이주공동행동 단속반대 대시민 리플릿1(2007) file
MTU이주노조
2008-02-01 10172
141 migrant worker Taiwan migrant worker forum(MTU paper) file
MTU이주노조
2009-04-18 10166
140 migrant worker wsf공도행동의 날 광고 file
이주노조
2008-01-21 10134
139 propaganda Leaflet - Please Show Solidarity for the Right to Freedom of Association of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file
MTU이주노조
2008-06-19 10127
138 propaganda [20051205] 인권위규탄기자회견 file
MTU이주노조
2005-12-06 10124
137 govern policy 국법질서에 모순 있을 수밖에 없다
MTU이주노조
2006-05-10 10123
136 migrant worker A brief overview on the discrimination of migrant workers
MTU이주노조
2009-09-08 10120
135 propaganda 2007년 노동자대회, 메이데이 때 배포한 유인물 텍스트 17 file
MTU이주노조
2008-02-01 10076
134 govern policy 여수외국인보호소화재참사 2주기 추모 기자회견 file
MTU이주노조
2009-02-11 10048
133 news scrap [아침을 열며] 외국인 노동자 자녀들의 고통 6
MTU이주노조
2006-03-09 10033
132 news scrap 낮엔 동료 밤엔 포주 '추한 한국인'
MTU이주노조
2006-03-09 10022
131 govern policy 출입국관리법 개정안 교육 자료 15 file
mtuitnl
2008-10-15 9952
130 news scrap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법 24일부터 시행 6
MTU이주노조
2006-03-27 9948
129 KNHRC 인권위 ‘초강력 권고’의 딜레마 6
MTU이주노조
2006-02-10 9931
128 propaganda [기자회견문] 최저임금 삭감, 어떤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는 파렴치한 착취행위! 즉각 중단하라!! 13
MTU이주노조
2008-11-26 9910
127 migrant worker 단속대응지침(스리랑카-타밀어) 8 file
stu
2007-08-10 9906
126 KNHRC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 사상 처음 확정 18
MTU이주노조
2006-01-09 9901